1.5 정전

 

정전

  • 외부 정전 원인

  낙뢰 -> 전선 절단

  과부하 -> 변압기 폭발

  • 내부 정전 원인

  과부하 -> 차단기

  누전 -> 차단기

 

  • 메인 차단기 상태 확인. 좌로부터 ON, OFF,  불확실(누전 차단 동작한 상태)

  • 누전 차단이 동작한 차단기는 OFF상태로 완전히 내려야 ON으로 올릴 수 있다.

  • 누전차단기 스위치는 올리고 즉시 손을 떼고 다시 차단 되는 지 확인한다.

 

  

  • 비상발전기의 종류: 주로 디젤발전기가 많이 사용됨.

 

 

순간정전

 

  • 출처: http://xenon87.tistory.com/entry/%EC%88%9C%EC%8B%9C%EC%A0%84%EC%95%95-%EA%B0%95%ED%95%98-Voltage-Dip

  • 순시전압 저하는 순시적으로 전압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순시전압 저하 현상은 낙뢰, 빙해, 설해 등의 자연 현상에 의해 발생한다.

  • 송전선으로의 낙뢰 등에 의해 전력 네트워크에 지락 등 이상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보호 릴레이가 그 이상 현상을 검출하여 송전선의 양 끝에 있는 차단기를 개방하여 이상 현상을 제거하게 되는데 낙뢰발생에서 현상제거까지 수십 msec에서 수 sec까지 시간이 걸리게 된다.

 

정전 복구 후속 조치

 

  • 제어장치 초기화 된 상태이므로 설정 상태와 동작여부 확인 필요

  • PC 순간정전으로 전원 OFF상태  또는 재부팅

  • 갑작스런 정전으로 제어기 또는 PC의 전원 고장 발생 -> 확인 필요

 

UPS(무정전 전원장치)

 

 

  • 정상 모드:  전력공급 및 배터리 충전

 

 

 

  • 정전(백업) 모드: 정전시 배터리로부터 전력공급(지속시간은 배터리 용량과 사용 전류의 크기에 따라 다름)

 

 

 

  • 바이패스 모드: UPS 이상 발생시 내부 장치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전력 공급

 

 

  • UPS 본체 - 대형, 소형(PC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