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써지(surge) 피해 방지 대책 

써지(surge)

  • 순간적인 고전압(수백 ~ 수천볼트) 으로 각종 전자기기를 파괴하거나 장해를 유발하는 현상

  •  Electro magnetic Pulse(EMP): 전자기파 펄스

  • 과전압: 평상시의 공급전압 범위보다 5~20%정도 상승한 상태. 8싸이클 이상

  • 과도서지전압: 짧은 시간에 수천볼트까지 상승(천분의 일초~십억분의 일초)

 

 

 

써지의 발생원인(출처:www.powertro.co.kr)

번개로 인한 써지 발생

낙뢰로 인한 써지 발생

 

  • 변전소에서 고압전력 공급선을 스위칭할 때 최고 6,000볼트의 써지

  • 분전함 주전원 스위치를 작동할 때 최고 3,000볼트의 써지

  • 중장비 시동때 최고 3,000볼트의 전압 임펄스가 발생

  • 아크용접기, 컴프레셔, 진공청소기, 사무기기 등을 사용할 때 400~1,000볼트의 임펄스와 노이즈가 발생한다.

써지의 전달경로(출처:www.powertro.co.kr)

  • 고압선에 낙뢰(1만볼트 이상)

  • 변전소 및 변압기

  • 분전반(가정)

  • 사무실 콘센트

  • 전자기기

 

 

써지 관련 참고자료

 

써지의 피해

  •  PC에서 전화선(모뎀 또는 ADSL 모뎀)을 통해 써지가 유입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경로로 써지가 통과하면서 경로상의 기기를 파괴한다.

 

    전화선 → 모뎀 → LAN카드 → 메인보드 → 전원장치

 

모뎀 피해사례

전원장치 피해사례

 

  • 약한 써지의 반복적인 타격으로 다음과 같은 장해가 발생할 수 있다.

    • 빈번한 시스템 다운 : 이 때는 메인보드, 또는 전원장치(전원장치가 문제인 경우가 의외로 많다) 등의 부품을 교환하여야 한다.

    • 써지보호기의 열화: 장시간에 걸친 약한 써지의 타격으로 보호기능을 상실하거나 장해를 일으킨다.

  • 자동화축사, 자동화온실 등 자동화설비의 파괴

  • 자동화설비의 파괴 또는 오작동으로 인한 피해사례가 빈번하다.

  • 써지 피해시, 경보장치도 같이 파괴되므로 관리자가 사고발생을 알지 못하여 피해가 커지는 경우가 많다.

 

써지피해 방지대책

  • 보호장치가 없을 때 낙뢰 또는 번개 발생시 PC 사용금지

    •  전원코드를 뽑는다.

    •  전화코드를 뽑는다.

 

  • 보호장치 설치

 

3상 전원용

전화용

전원용, 전화용 겸용

 

1. 전원에 써지프로텍터를 설치한다(사용전압 110V/220V 확인)

    PC본체 , 모니터, 프린터 등

   자동화축사의 콘트롤판넬

 

2. 전화선이 연결되는 장치( 전화선용).

   모뎀, ADSL 등 전화선 연결부위에 설치한다.

 

3. 센서 및 통신선(각 통신방식에 맞는 써지프로텍터를 설치)

       온도, 습도센서,

       RS232, RS485, RS422 등 통신선

       LAN 케이블(UTP 케이블)

 

  • ·보호장치 설치시 주의점

 

    • 용도에 맞는 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보호범위(내압) 이 맞지 않으면 파괴될 수 있다.

 

    •  접지를 확실하게 해야 한다.
      써지 에너지가 접지선을 통해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 접지를 하지 않은 경우 보호장치 제품에 가입되어 있는 배상보험의 보상을 받을 수 없다.

 

연습문제

  a. 축사설비의 낙뢰로 인한 피해 가능성을 설명해 보시오.

  b. 낙농가의  설비(자동급이, 착유시스템)의 낙뢰보호 대책을 설명하시오.

  c. 자동화계사(돈사) 시스템의 낙뢰보호 대책을 설명하시오.

  d. 접지공사를 하는 방법을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여 요약하시오.

  e. 인터넷에서 접지형 멀티탭 사진을 검색하여 첨부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