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전원노이즈 피해 방지 대책

 

전원노이즈

 

 

  • 교류(AC) 220V 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자기기는 전원으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노이즈로 인해 기기의 오작동 등 피해가 발생한다.
     

  • PC 등 정밀 전자기기는 보통 전원으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부품(노이즈 필터 등)이 장착되어 있다.
     

  • 그러나 저가격제품에 사용하는 전원장치는 이런 노이즈 대책이 미흡하여 장해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전원노이즈의 발생원인

  • 번개, 낙뢰, 주변의 전력기기 ON/OFF시, 아크용접기, 컴프레셔, 진공청소기, 사무기기 등을 사용할 때 써지가 발생한다. 집안의 전등을 켜거나 끌 때 노이즈의 영향으로 현관에 설치된 센서등이 저절로 켜진다. 현관의 번호키에 강한 충격전압을 가하면 문이 저절로 열리는 현상.

 

  • 전화선과 전력선이 근접하여 지하에 매설 되어 있을 때 전화선을 사용하는 ADSL 등과 같은 통신기기의 고주파 신호가 전력선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인터넷이 안되거나 아주 느려진다.
     

  • UPS(무정전 전원장치)에 노이즈 대책이 미흡한 경우 주변으로 노이즈를 방출한다.

 

  • 인버터(전동기의 속도를 조절하는 장치; 계사에서 계란 이송장치의 속도 조절 등)도  주변으로 노이즈를 방출한다.

 

  • 개발중인 전력선 인터넷도 전원의 노이즈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전력선 인터넷이란 전력선에 고주파 인터넷 신호를 실어 보내는 기술로, 타 기기에는 이 신호가 노이즈이며 장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전원노이즈의 피해

  • ADSL의 통신 장해: ADSL의 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거나 자주 끊김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런 현상들이 일어나는 원인 중에는 ADSL모뎀의 불량도 있는 것 같다. ADSL모뎀을 OFF 한 후 다시 켜면 끊김현상이 사라지는 경우는 ADSL 모뎀의 불량일 수도 있다. 이런 모뎀의 작동불량 현상을 유발하는 원인이 노이즈인 경우도 있다.
     

  •  PC의 잦은 시스템 다운: PC를 설치한 초기에는 좋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별 이유 없이 시스템이 자주 다운되는 경우는 전원 노이즈에 의한 장해일 수 있다. 또는 약한 서지의 지속적인 타격도 원인이 된다. 이 때는 전원장치 또는 메인보드를 교환하면 증상이 사리지게 된다.
     

  • 자동화시설의 오동작: 자동화 온실, 자동화 무창계사 등 자동화 설비를 사용하는 시설물에서 간헐적인 오동작 또는 시스템 다운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전원노이즈 피해 방지대책

  • 전원 인입부에 노이즈필터(EMI필터)를 장착한다.

 

 

 

 

노이즈(EMI) 필터

 

 

 

 

 

 

 

 

 

 

 

 

 

 

 

 

전원유니트 내부의

노이즈(EMI) 필터

 

 

 

 

 

 

 

 

 

 

 

 

 

 

 

 

 

 

 

 

 

케이블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페라이트 코어

 

 

 

 

 

 

 

 

 

 

 

 

 

 

 

 

 

 

 

 

노이즈필터 모양과 회로도

 

노이즈필터의 특성

 

  • 위 회로도의 ①, ②번에 전원(AC 220V)을 연결하고, ③, ④번에 PC를 연결한다.

  • 단자 ⓔ는 코드선의 녹색선에 연결한다.

  • 아래 사진은 PC 전원코드의 중간을 잘라서 노이즈 필터를 연결한 것이다.

  • 여러 기기를 연결할 때는 멀티탭 코드의 중간을 잘라 같은 방법으로 연결한다.

  • 멀티탭은 접지단자가 있는 제품을 구입해야 한다.

 

접지

  • 멀티탭은 접지단자가 있는 제품을 구입해야 한다.